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5 [kubernetes] kube-opeator pod에 rbac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kubevirt pod 생성 시 kubevirt-operator-xxxxxxxxxxxxxx-xxxx 생성 이후 kubevirt 관련 pod이 생성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면, kubevirt-operator의 pod 로그를 다음과 같이 확인가능하다. root@Compute:~/kubevirt/virt-v1.3# vi /var/log/pods/kubevirt_virt-operator-xxxxxxx8d6-c4bbs_bba94770-b446-aaaaa-b987-xxxxxxd8d/virt-operator/0.log or root@Compute:~/kubevirt/virt-v1.3# kubectl logs -f virt-operator-xxxxxxx8d6-xxclh -n kubevirt 로그 중 다음과 같이 " .. 2022. 3. 31. [kubernetes] k8s 소개 kubernetes 란? 쿠버네티스( Kubernetes, 약어 k8s)는 컨테이너 기반 운영 환경중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디플로이, 스케일링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오픈 소스 기반의 자동으로 관리 시스템입니다. 최초 구글에 의해 설계되었으나 현재 리눅스 재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클러스트의 호스트(서버) 관리에 용이합니다. 도커 또는 CRIO등의 CRI를 통해 컨테이너 배치, 스케일링, 운영을 자동화 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kubernetes pod 생성 과정 kubectl → API Server → kubelet → CRI(Docker) → Pod(container) 생성 기본 구성 요소 master api server .. 2022. 3. 28. [AWS] Cloud 시스템 구성도(Webserver-ElastiCache-RDS) 1. Web-server -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로 부터 HTTP/HTTPS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Software ex) Apache Server, Nginx, IIS 등 2. ElastiCache - 오픈소스 호환인 메모리 데이터 스토어를 통해 처리량이 많고 지연 시간이 짧은 인 메모리 스토어를 제공, ex) Redis, Memcached 3. RDS - 인프라 및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설치 및 운영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 ex) Amazon Aurora, PostgreSQL, MySQL, MariaDB... 4. ELB(Elastic Load Balancer) - 입력되는 트래픽에 대해 시스템에 가해지는 부하를 여러대의 시스템으로 분산하여 (어플리케이션 트래픽을 자.. 2022. 3. 21. [Linux] 리눅스 네트워크 드라이브 설정 cifs를 이용하여 ubuntu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설정이 가능하다. cifs 패키지가 없다면 다음과 같이 cifs 패키지를 설치한다. root@ubuntu:~# sudo apt-get install cifs-utils mount 하고자하는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media/testdir root@ubuntu:~# mkdir /media/testdir 이후 mount 하고자하는 공유 디렉토리, 공유 서버주소와 경로, id/pw를 확인한다. 공유 디렉토리: /media/testdir 공유 서버주소: 192.168.0.1/test/ id(공유 서버의 사용자 이름):test pw(공유 서버의 비밀번호):1234 mount 경우 mount -t cifs //공유서버주소 /마운트경로(공유 디렉토리) .. 2022. 3. 14.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 728x90 반응형 SMALL